테스트와 별개로 그린피스에서는 옥소 유저들에게 질문을 던졌어요 기후 위기와 일자리의 관계에 대한 부족별 댓글도 확인해보세요!
[그린피스 X oxo] 풍력, 태양광 같은 재생에너지 확대에 동의하세요?
⭕ 기후위기 극복 및 산업 경쟁력 유지 위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더 힘 쏟아야 해요 ❌ 재생에너지 확대 여건이 좋지 않고, 더 확대하는 건 아직 시기 상조예요
✔️ 체크포인트 • 현 정부탄소중립정책 변화 있어요 • 글로벌 경제 질서가 탄소 배출 줄이고 있죠 • 재생에너지 확대와 일자리! 밀접한 연관 있죠
<사진출처_Unsplash>
✅ 기후위기가 경제위기?
• 가뭄·폭우·폭염 등 기후위기 심각하죠 • 곡물 생산과 노동생산성에도 영향 있죠 • 기후변화는 경제·금융 위기까지 이어져요
👉 실제 기후위기는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?
📍가뭄∙폭우로 곡물 생산량 줄고 물가 상승해요 📍폭염으로 일의 생산성이 줄어들 수 있죠 📍해수면 상승으로 건물, 도로 등의 피해가 늘어나요 📍공장과 가정에서 에어컨 가동 시간 늘어 부담 커지죠
한국이 기후위기에 제대로 대응하지 않으면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거란 전망 있어요.
🅰️스위스리(Swiss Re)는 우리나라 온도가 3.2도 상승 시 2050년GDP12.8% 감소 예상했죠 🅱️딜로이트그룹도 기후위기 해결하지 않으면 2070년까지 경제적 누적 손실이 936조 원에 달할 거라 했어요
<사진출처_Unsplash>
✅ 현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은?! • 문 정부 2030년NDC40% 감축 선언했어요 • 현 정부NDC준수하지만 손질을 예고했죠 • 산업계 의견도 다시 듣고, 재생에너지도 줄일 예정이죠
👉 지난해문재인정부는 2050년 탄소중립, 2030년까지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(NDC) 40%를 선언했죠.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 등을 통해 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을 강조했어요.
그런데윤석열정부에 들어선 방향이 다르게 흘러가고 있죠.NDC는 준수하지만 현실적으로 접근하겠다는 입장이에요.
📍면적이 좁은 한국은 에너지 생산이 제한적이라 📍재생에너지의 발전 비중은 줄이고 📍수소에너지나 원전 같은 에너지를 늘리겠다고 주장하죠
<사진출처_Unsplash>
✅ 탄소중립과 일자리, 두 마리 토끼를?! • 수출 시 재생에너지 필수!탄소국경세도 도입돼요 • 햇빛과 바람으로 100% 전력 조달할 수 있어요 • 재생에너지 투자하면 일자리 늘어나요
👉RE100회원사 중 일부는 협력업체에도 재생에너지 전기로 생산된 부품을 요구하고 있어요. 대표적인 회사가 애플이죠. 애플 공급사 리스트에 삼성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국내 대표 전자 기업들도 포함됐죠. 이제 RE100은 기후위기 대응을 넘어 국내 주요 기업의 수출경쟁력에 직결되는 요소가 되었어요.
<사진출처_Unsplash>
EU는 철강, 정유, 시멘트, 비료, 플라스틱 등의 품목에 대해 2027부터 과세를 시작해요. 즉, 제품을 만들 때, 이산화탄소 배출을 많이 하면 세금을 부과하는 거죠. 이러한탄소국경세가 도입되면 철강, 시멘트 등 온실가스 배출 업종에서의 수출 주도로 성장해 온 국내 기업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요.